식중독 하면 첫 번째 떠오르는 것은 상한 음식 섭취일 것입니다. 그렇다 보니 식중독은 한여름에나 성행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많은데, 한 겨울에도 저온에서 감염률이 높은 "노로 바이러스"라는 식중독이 있어 증상과 원인, 그에 대한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로바이러스란?
겨울철 식중독의 주범이며 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그룹으로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가장 흔한 질병명은 바이러스성 장염입니다. 항생제로 치료가 되지 않으며 1년 중 전체 설사 환자의 10%가 감염되며 영하 20도에서도 살아남고 섭씨 60도 미만의 열에서 30분 동안 가열해도 생존할 수 있으며 낮은 온도일수록 더욱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전염성이 매우 높은데다 면역항체의 유지 기간이 6개월에서 2년 정도로 짧고 다양한 바이러스 종류와 변이로 면역체계를 통한 방어에 어려운 질병입니다.
증상
감염되면 24~48시간(즉, 1~2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구역질, 구토, 설사, 위경련 등의 징후를 보입니다. 어떤 경우는 미열, 오한,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영유아의 경우는 구토 증상이 빈번하고, 성인의 경우는 대다수 설사(피까지 섞여 나오지는 않음)를 동반하므로 이온음료 섭취 등을 통해 탈수를 조심해야 합니다.
원인
가장 잘 알려진 경로는 겨울철 굴을 날 것으로 섭취하는 과정에서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입습니다. 이외에도 오염된 음식(채소, 과일, 지하수, 조개류 등)이나 음용수 섭취, 오염된 물건을 만진 손으로 입을 만졌을 때, 감염된 사람의 식품, 기구 등을 함께 사용할 때 등 다양한 경로로 감염될 수 있습니다. 항바이러스제나 예방이 가능한 백신이 없고 며칠이 지나면 자연 치유가 된다고 합니다. 적은 양으로도 전염이 되기 쉽기에 회복 후에도 최대 2주간은 조심하셔야 합니다.
예방법
1. 음식은 80도에서 약 5분, 100도에서 약 1분간 가열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2. 가족 중에 감염된 사람이 있으면 개인 수건을 사용해야 합니다.
3. 입을 통한 감염이 많기에 손 씻기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범죄처벌법] 유흥가 노상에서 전단지 배포하는 행위는 처벌이 가능할까? (2) | 2023.03.02 |
---|---|
23년 부터 복권 당첨금 200만원까지 비과세로 기준 상향 (0) | 2023.01.03 |
[속보] 화물연대 파업 이유 총정리 (0) | 2022.12.01 |
행사 [할로윈 데이] 뜻(어원) 날짜 유래 소품 잭 오 랜턴의 유래 (0) | 2022.11.29 |
22년 7월 12일 개정된 도로교통법(우회전 시 일시정지) (0) | 2022.11.24 |
댓글